Livestock News

스마트축산, 자동화 중심에 머물러... '기술 고도화' 관건

작성자: 가야육종님    작성일시: 작성일2025-05-07 14:10:06    조회: 19회    댓글: 0

 

 

 

# 정부, ‘스마트축산 2세대’로 정책 전환… 패키지형 지원 확대

# 농가 인식 개선이 관건… 스마트팜으로 청년농 유입 기대↑

# 설치비 부담 여전… 정부, 농가 부담 완화 방안 모색해야

# 글로벌 협력 모델 ‘주목’… 3세대 스마트축산으로 도약해야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축산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기존의 개별 장비 보급 중심 정책의 한계를 인식하고, 농가 맞춤형 솔루션과 장비를 결합한 ‘스마트축산 패키지’ 사업에 본격적으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이에 대해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최근 발간한 ‘2025년 2분기 이슈 분석 보고서’에서 국내외 스마트축산 동향을 살피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 국내 스마트축산 선행과제 및 확산을 위한 추진 방향 (자료 / 축산물품질평가원 보고서 발췌)
▲ 국내 스마트축산 선행과제 및 확산을 위한 추진 방향 (자료 / 축산물품질평가원 보고서 발췌)

정부는 현재 스마트축산 2세대 전환을 목표로 △스마트장비 보급 △솔루션 중심 패키지 지원 △지역 맞춤형 솔루션 제공 등 ICT 융복합 확산 사업을 추진 중이다. 특히 농가 상황에 최적화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해 실질적 효과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스마트축산 생태계 구축을 위한 데이터 기반 환경 조성도 주요 과제로 꼽힌다. 이를 위해 축종별 데이터 종류와 형식의 표준화가 시급하며, 민관 협력을 통한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을 통해 산업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스마트축산의 미래, 어떻게 나아가야 하나
스마트축산의 발전을 위해 가장 우선되어야 할 요소로는 ‘농가의 인식 확대’가 지목됐다. 고령화와 농가 수 감소가 심화되는 가운데, 스마트기술의 신뢰성과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관련 교육을 지원하는 등 환경 개선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보고서는 “스마트축산이 청년층의 농업 진입을 유도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 축산업은 스마트팜 도입 분야에서 후계농 비중이 20.3%로 다른 작물(시설원예 12.2%, 노지과수 11.2%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 스마트축산 도입 연령 및 경영체 유형 현황 (자료 / 축산물품질평가원 보고서 발췌)
▲ 스마트축산 도입 연령 및 경영체 유형 현황 (자료 / 축산물품질평가원 보고서 발췌)

다만 생산성 향상과 노동력 절감 등 자발적 필요로 스마트축산을 도입하려는 농가는 많지만, 여전히 높은 초기 설치비용은 큰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이에 대해 장비 보급 및 패키지형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농가 부담을 덜기 위한 추가 대책을 검토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스마트축산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밑거름으로 연구 활동과 투자도 빼놓을 수 없다. 글로벌 주요국은 이미 정부 정책 지원과 함께 민간 및 기업 주도의 기술 고도화는 물론 학계의 연구 활동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주 정부·업계·학계가 연합한 민간 주도 협의체 ‘Research Triangle AgTech Cluster(RTAC)’를 운영 중이며, 네덜란드에서도 산학연 협력체 ‘Education-Extention-research(EER)’를 구축했다.

 

▲ 미국, EU, 한국의 스마트축산 지원 현황 (자료 / 축산물품질평가원 보고서 발췌)
▲ 미국, EU, 한국의 스마트축산 지원 현황 (자료 / 축산물품질평가원 보고서 발췌)

보고서는 현재 국내 스마트축산이 자동화 중심에 머무르고 있다며, 향후 AI·빅데이터 활용, 생체정보 관리 등 기술 고도화가 핵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중장기적인 공간 및 디지털 전환을 위해 민간 투자를 유도하는 것이 3세대 스마트축산으로의 도약을 위한 핵심”이라고 조언했다.

【홍란 기자】